아이가 많이 떨고 있습니다.
어른들을 바라보며 손뼉을 치거나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합니다.
구별할 수 없었던 아기는 이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기대하는 것 같습니다.
어른들이 소란을 피우고 칭찬을 하면 아기는 더욱 신이 나서 칭찬을 멈추지 않습니다.
성장은 타인의 반응에서 벗어나는 과정인 것 같다.
아이를 움직이는 것은 보호자의 반응이다.
그런데 커서 보니 어렸을 때처럼 계속 지켜보고 칭찬하고 혼내는 사람이 없어요. 스스로 판단하고 만족해야 합니다.
매슬로의 마지막 단계인 자아실현처럼 말이다.
진짜 어른은 누가 보든 말든 똑같습니다.
그런 사람은 자기 기준대로 행동하고 아무도 보지 않을 때에도 자기 본분을 다합니다.
보행자도 차도 없는 교차로에서 홀로 신호등을 들고 있는 사람처럼.
<나의 아저씨>에서 이선균이 멋있었던 이유는 혼자일 때도 늘 똑같았기 때문이다.
도청장치라는 극단적인 수단이 드라마에서 쓰인다.
노출된 줄도 모르고 노출됐을 때가 가장 멋있기 때문이다.
아무도 무언가를 기념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에 사진을 게시하지 않습니다.
기념이 목적이라면 그냥 이미지로 남겨주세요. 소셜 미디어에 게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오마카세 식당에서 찍은 음식 사진을 SNS에 올리는 것은 ‘나’가 기억하는 순간을 포용하기보다 원래 그런 곳을 찾는 사람임을 드러내고 싶은 심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미식을 스스로 즐기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부러움이나 자신의 이미지를 즐기는 것이다.
결국 고급 레스토랑에 가거나 명품을 사서 SNS에 올리는 것과 보호자의 반응을 지켜보는 아이가 애지중지하는 것도 같은 이유다.
하지만 아이가 장난을 치면 반응을 배우고 인지 능력이 발달하지만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면 박탈감과 좋아요 수만 남게 됩니다.
소셜 미디어를 구성하는 인간의 본능(예: 관계를 맺고 싶어하고 연결된 느낌)은 물론 중요하지만 그 자체가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습니다.
타인이나 외부 세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길이 아니라 오히려 억누르기 쉬운 길이기 때문이다.
결국 성장 속도를 늦추는 것은 소셜 미디어입니다.
사람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았던 이 블로그는 이제 조용합니다.
물론 포털사이트에 올라와 댓글마다 논란이 됐을 때는 과거가 웃기게 느껴졌다.
하지만 지금처럼 아무도 나를 보지 않는 블로그에 남기는 자조 글들이 점점 더 나에게 다가가는 느낌이다.
이렇게 조용한 블로그를 채우는 것이 어른이 되는 연습일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