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동포개발의 역사
17. 마산포 대화재
광무 9년 명치 38년(1905) 1월 5일 이른 아침, 마산포 한옥에 불이 나고 때맞춰 차갑고 강한 바람이 불어 일본인 40명, 청나라 근처에 한인 주택이 있습니다.
소방 장비도 없었고, 동지가 끝나는 시기라 물조차 귀한 상황이었기에 조선인들은 소리를 지르며 호리병박에 물을 부어 불을 멈췄다.
이를 마산포 최초의 대화재라고 하며, 화재가 발생한 곳은 현재의 모토마치로 구마산금융협회 서쪽 이웃으로 추정되지만 불에 탄 지역은 현재의 고토부키마치까지 번졌다.
에서 동쪽으로 .
대정 11년(1922) 6월 22일 오후 2시 30분에 사람이 없을 때 조선인 신용균의 집 온돌에 불이 나 우리 집에 불이 나 버렸다.
화재로 조선인 6채, 선인 9채, 중국 9채 건물이 불에 탄 일대는 직전 화재였다고 한다.
또한 이후 과거 화재 현장에 지어진 중국집에서 화재가 난 것으로 알려지며 이웃인 사토 고노스케(佐藤子之助)의 가게를 상대로 반소가 제기됐다.
또한 재위 12년(1923년)에는 가와이약보, 아카츠카가게, 또 다른 현가게를 불태웠고, 마츠바라 하야조의 쌀가게에 반격을 가했다.
1925년 6월 18일 오전 2시 대정 14년(1925년) 과거 그곳에서 불이 난 것으로 추정되는 한인 상점의 온돌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2채의 집이 전소(岩田寬一) 철물점 반소 .
같은 해 12월 대정 11년(1922년)에 내가 소실한 자리에 지은 중국집에 화재가 발생하여 이웃집 2채를 불태우고 마산금융협회 사무실을 해임하면 알 수 있다.
나라가 거기에 있다
18일 군항계획 발표
대한제국 정부는 러일전쟁으로 일본제국의 세력을 인정하고 광무 9년 9월 38일 계획된 군항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구 내에서 일본인이 아닌 외국인에게 토지와 주택을 매매하거나 빌려주는 행위가 금지된다는 안내를 받았습니다.
그 결과 일본 정부는 웅중면, 비봉, 현동, 염임 등 자신의 세력권 내의 일부 지역을 과거 완포향(명)이었던 웅천군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도만, 중평, 행암 등을 덕산으로 옮기고 웅서면 비봉리를 매입하기 시작했다.
원래 진해 진해면의 이름인 창원군은 진해현이 위치한 도시의 이름이었다.
(熊中面, 1912년 마산부의 웅중면 전체와 웅서면의 일부를 통합하여 진해면으로 개편)당시 우편배달이 번거롭다고 해서 구진해(舊鎭海)라고 부르기도 한다.
19. 치바촌의 모습
치바무라는 과거 러시아령이었던 율구미포 폐허에 치바현 원양어업 집단이 사는 마을을 일컫는다.
메이지 38년(1905년) 지바현은 한해 어업의 거점으로 일반 주택과 차관을 체결하고 이듬해 봄 약 40대 어민들이 모여 어업을 설립했다.
마을이 일반 이름으로 알려지게되었습니다.
지바현의 도움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현의 어업 기술자가 감시하러 왔습니다.
대정 4년(1915)에 보조금이 중단되어 대부분의 어민들은 즉시 귀국하였고, 반환된 땅은 마산 중포병대대 소속의 군지 또는 군림이 되었다.
마산학교연합회가 이곳의 관리를 위탁받아 교육비 일부를 부담하고 있다.
<<
이 글은 2021년 창원시립연구소에서 번역한 『마산항』(1926)의 40번째 글이다.
사진은 따로 붙였다.
『마산교선』은 1900년대에 출판된 일본문학 중에서 가장 가치 있는 책으로 꼽힌다.
저자는 앞서 간행된 『마산繁昌記』과 같은 스와시로(諏方史郞)이다.
본 기관은 비영리를 전제로 창원시립연구원의 승인을 받았습니다.